2025 이모티콘 제작과 판매 방법 – 카카오 & 라인 완전 정복
개성 있는 캐릭터로 나만의 이모티콘을 만들어 판매하고 싶으신가요? 2025년 현재, 카카오 이모티콘샵과 LINE Creators Market을 통해 누구나 직접 이모티콘을 제작하고 수익화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모티콘 제작 준비부터 등록, 판매까지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1. 이모티콘 기획: 아이디어에서 시작
성공적인 이모티콘은 '귀여움'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상황별 감정 표현, 대중성과 콘셉트가 핵심입니다.
- 감정형: 기쁨, 화남, 당황, 설렘 등 다양한 감정 묘사
- 상황형: 출근 중, 야근 중, 퇴근 후, 친구와 수다 등 실생활 연관성
- 유행형: 밈, 트렌디한 대사 활용 (예: “존버는 승리한다”)
처음엔 8~12개 콘셉트를 떠올리고, 각 콘셉트별 이모티콘을 2~3개씩 구상해보세요.
2. 디자인 작업 준비
디자인 툴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아래 툴을 사용합니다.
- Procreate – 아이패드 전용, 손그림 스타일에 강함
- Photoshop – 고해상도 작업에 유리, 애니메이션 가능
- Clip Studio Paint – 웹툰/이모티콘 작업에 최적화
작업 크기: 카카오는 360x360px, 라인은 370x320px이 권장됩니다. 배경은 반드시 투명 PNG로 저장해야 하며, 움직이는 이모티콘은 APNG 또는 GIF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3. 카카오 이모티콘 등록 절차
-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에 회원가입
- 작품 등록 (기본 24개 이미지 필요)
- 제목, 가격, 설명 입력
- 심사 요청 → 평균 5~7일 소요
- 승인 후 이모티콘샵에 자동 등록
심사 통과율은 약 30~40% 수준으로, 철저한 퀄리티 체크와 창작성 확보가 중요합니다.
4. LINE 이모티콘 등록 절차
- LINE Creators Market 가입
- 스티커 업로드 (8~40개까지 구성 가능)
- 영문/일문 제목 및 설명 입력
- 심사 요청 → 5~10일 소요
- 출시 후 글로벌 판매 가능
라인은 일본, 동남아 등 해외 사용자 비중이 높기 때문에, 영문/일문 설명을 함께 등록하면 더 많은 노출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수익 구조와 정산 방식
- 카카오: 판매 수익의 약 30%를 작가에게 지급
- 라인: 수익의 약 35% 정산 (국가별 세금 및 환율 반영)
정산은 플랫폼마다 월 1회 진행되며, 일정 수익 이상일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평균적으로 이모티콘 한 세트가 히트할 경우 월 수익 100만 원 이상도 가능하지만, 대부분은 초반엔 월 5~30만 원 수준에서 시작합니다.
6. 초보자를 위한 수익화 전략
- SNS에서 선공개 – 인스타그램, 트위터에 이모티콘 컷 일부 공개
- 이모티콘 출시 알림 예약 – 카카오 알림톡 연동
- 커뮤니티 활용 – 디시콘, 네이버 카페, 블로그 등에 출시 알림 등록
- 꾸준한 시리즈화 – 인기 캐릭터는 시리즈로 확장
실제로 2024년 카카오 이모티콘 '곰돌이 냠냠' 시리즈는 꾸준한 팬덤을 유지하며 시리즈 6까지 연재되었고, 월 평균 수익 200만 원을 기록했습니다.
7. 마무리 – 이모티콘은 ‘디지털 굿즈’입니다
이모티콘은 단순한 감정 표현 도구를 넘어서, 캐릭터 IP를 수익화할 수 있는 디지털 굿즈입니다. 나만의 감성, 스타일, 언어를 담은 캐릭터가 공감을 얻을 수 있다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콘텐츠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여러분의 캐릭터가 카카오톡과 라인에서 수천 명과 소통하는 그날까지, 시작이 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