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굿즈를 제작하려고 생각하시는 분들께서 가장 많이 하시는 고민이 아닐까 합니다.“AI로 만든 캐릭터 이미지를 굿즈로 판매해도 괜찮을까?”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저작권 문제, 상업적 이용 가능 여부, 플랫폼별 정책까지 굿즈 제작자들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AI 이미지의 저작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AI가 생성한 이미지에는 법적 저작권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즉, 사람이 직접 창작한 것이 아니므로 “저작물”로 인정되지 않죠.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AI 플랫폼이 사용자에게 상업적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지 여부**입니다. 이건 플랫폼의 이용약관(라이선스)에 따라 달라집니다.
2. 대표 AI 이미지 플랫폼별 상업적 이용 정책 (2025년 기준)
✅ Midjourney
- 상업적 사용: 유료 플랜 이용자는 가능
- 무료 플랜: 상업적 사용 불가
- 주의사항: Discord 채널에서 생성된 모든 이미지는 공개됨
- 👉 공식 라이선스 보기
✅ Leonardo.Ai
- 상업적 사용: 모든 플랜(무료 포함) 가능
- 특징: 애니메이션/캐릭터 스타일에 강함
- 조건: 생성된 이미지에 대한 완전한 사용 권한 제공
- 👉 플랫폼 바로가기
✅ DALL·E (Bing Image Creator 포함)
- 상업적 사용: 가능 (Microsoft 계정 이용 시)
- 제한: 생성물에 유명인, 브랜드, 로고 포함 시 문제 발생
- 사용처: 스티커, 엽서, 티셔츠 굿즈까지 가능
⚠️ Canva AI Art
- 상업적 사용: 가능 (단, 일부 요소는 라이선스 확인 필요)
- Pro 요소: Pro 이미지 또는 아이콘 사용 시 상업적 제한 존재
3. 주의해야 할 대표 사례
- ❌ 유명 캐릭터/연예인/브랜드와 유사한 AI 이미지 → 초상권 및 상표권 침해 소지
- ❌ 타인의 AI 이미지 생성물을 무단 이용 → 플랫폼 내 규정 위반
- ✅ 내가 직접 생성한 이미지 + 커스터마이징 → 상업적 사용 가능
결론적으로, **직접 생성한 AI 이미지라도 타인을 연상시키는 요소가 있다면 조심**해야 합니다.
4. 굿즈에 AI 이미지를 사용할 때 체크리스트
- ✅ 사용 중인 플랫폼의 이용 약관을 확인했는가?
- ✅ 유료 플랜 가입 여부가 필요한가?
- ✅ 이미지에 타인과 유사한 요소는 없는가?
- ✅ 상업화 시 2차 가공/편집이 포함되어 있는가?
특히 **AI 이미지 + 직접 텍스트 삽입/편집/조합**을 하면 ‘창작성’이 인정되기 쉬워집니다.
5. 저작권 논란 줄이기 위한 팁
- 🖋️ 이미지 생성 시 프롬프트에 “original, not fanart, no trademark” 등 명시
- 📁 생성 이미지와 사용처 기록 보관 (ex. 생성 일시, 원본 파일)
- 💡 가능하다면 AI 이미지 + 직접 일러스트 결합 방식 활용
6. 마무리
AI 이미지로 굿즈를 제작하는 건 충분히 가능하지만, 저작권과 상업적 사용 조건을 반드시 체크해야 안전합니다.지금 사용하는 AI 플랫폼의 정책부터 꼭 확인하세요!
창작과 사업 모두 안전하게, 그리고 오래 지속되기 위해서는 이런 ‘작은 체크리스트’가 가장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