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굿즈 가격 책정하는 방법 – 원가 계산부터 마진, 배송비까지 현실 가이드

by 굿즈양 2025. 4. 12.

굿즈 제작을 하다 보면 가장 고민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얼마에 팔아야 하지?”입니다. 너무 비싸면 팬들이 부담스러워하고, 너무 싸면 수익이 안 남죠.

이번 글에서는 굿즈를 처음 판매하는 창작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가격 책정 4단계 전략을 소개합니다. 텀블벅, 스마트스토어, 마플샵 등 다양한 플랫폼에도 적용 가능한 방식이에요.

 

1단계: 원가 계산 – 눈에 안 보이는 비용까지 포함하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굿즈 1개당 정확한 원가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 예시: 아크릴 키링 원가

  • 제작 단가: 2,200원
  • 포장비(봉투 + 스티커 + 완충재): 300원
  • 배송 박스 및 택배비(나눔 기준): 400원
  • 총 원가: 약 2,900원

💡 디자인 도구 유료 사용료, 인쇄소 테스트 샘플 비용 등도 포함시키는 게 정확합니다.

 

2단계: 마진 설정 – 창작자의 노동도 ‘비용’입니다

굿즈는 단순 생산물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아이디어, 디자인, 편집, 소통, 포장이라는 창작자의 노동이 들어갑니다.

📌 추천 마진율:

  • ✅ 최소 마진: 원가의 1.8배 (~40~50% 이익)
  • ✅ 적정 마진: 2~2.5배
  • ✅ 팬심 고려 마진: 1.5배(단, 굿즈당 판매 수량이 많을 경우)

예) 원가 2,900원 → 최종 판매가 5,800원 ~ 6,500원 사이 추천

📢 팁: 텀블벅 수수료(약 10%), 스마트스토어 수수료(약 3.5%)도 계산에 포함!

 

3단계: 배송비 전략 – 무료 vs 유료, 어떻게?

📦 배송비는 팬 입장에서 민감한 요소입니다. 가격 설정 시 반드시 포함 or 별도로 안내해야 합니다.

  • 🚚 스마트스토어 기준: 보통 3,000원 고정 / 무료배송 기준 30,000원 설정
  • 📬 텀블벅 기준: 리워드마다 개별 배송비 설정 가능
  • 🎁 팁: “3만 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 미니 사은품 증정” 전략 추천

❗ 배송비는 절대 손해 보면 안 되는 영역입니다. 택배비 인상(2024~2025 평균 3,500원)에 대비해서 **여유 있게 반영**하세요.

 

4단계: 가격 심리학 적용 – 5,900원이 더 잘 팔린다

💡 가격 책정에서 ‘보이는 숫자’는 팬의 심리에 영향을 줍니다.

  • 정가보다 심리적 마지노선 적용: 6,000원 → 5,900원
  • 묶음 구성 할인: “키링 1개 5,900 → 2개 세트 11,000원”
  • 한정 수량 강조: “50개 한정 / 조기 품절 예상”

정가보다 **소비자가 “득봤다”고 느끼는 구조**가 재구매로 이어집니다.

 

💡 보너스: 가격 책정 시 체크리스트

  • ✔️ 굿즈 제작비 + 포장비 + 플랫폼 수수료 + 배송비 = 전부 포함했나?
  • ✔️ 나의 노동시간과 정성을 가격에 반영했나?
  • ✔️ 구매자 입장에서 너무 과하거나 부담스럽지 않은가?
  • ✔️ 마케팅용으로 할인/묶음 구성이 가능한가?

 

마무리

굿즈는 창작자의 열정이 담긴 상품입니다. 그만큼 정당한 가치를 받을 수 있도록 가격을 책정해야 오래 지속 가능한 활동이 가능합니다.

이제는 "대충 이 정도면 되겠지"가 아니라, 숫자로 근거 있는 가격 책정을 시작해보세요!
그게 바로 브랜드의 신뢰이자, 팬과의 약속입니다 😊